본문 바로가기

iOS개발팁

Core Sevices Layer 소개

MobileCoreService  프레임워크
모바일 코어 서비스는 iOS3.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저수준 데이터 타입에 대해 고유한 타입 식별자(UTI) 상수를 제공한다. UTI 는 앱과 앱,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때 필요하다.


SystemConfiguration 프레임워크
시스템 구성 프레임워크는 접근 가능성, 사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시스템 구성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프레임워크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예는 장치가 특정 호스트에 접근하는데 Wi-Fi 또는 전화망(3G)을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루틴이다.


AddressBook 프레임워크
주소록 프레임워크는 사용자의 장치에 저장된 연락처 정보를 프로그래밍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주소록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앱에서 연락 가능한 친구 목록을 만들기 위해서 주소록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QuickLook 프레임워크
퀵룩은 iOS4.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당신이 만든 앱이 지원하지 않는 파일의 미리보기 기능을 다이렉트로 지원한다. 네트워크에서 받은 파일이나 출처를 알 수 없는 파일의 미리보기를 지원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프레임워크이다. 특정 파일에 미리보기를 하려면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는 뷰컨트롤러를 만들면 된다.


StoreKit 프레임워크
스토어킷 프레임워크는 iOS3.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앱 내에서 추가 컨텐츠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EventKit 프레임워크
이 벤트킷 프레임워크는 iOS4.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사용자 장치의 저장된 캘린더 이벤트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존의 이벤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새로운 이벤트를 사용자의 캘린더에 추가할 수도 있다. 캘린터 이벤트는 알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람 규칙을 설정할 수도 있다.


CFNetwork 프레임워크
CFNetwork 프레임워크는 고성능의 C언어 기반 인터페이스로 여러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객체 지향 추상화를 제공한다. 이 추상화는 프로토콜 스택의 세세한 컨트롤을 제공하고 BSD소켓과 같은 저수준 구조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FTP와 HTTP서버와 쉽게 통신할 수 있다. CFNetwork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아래의 내용을 수행할 수 있다.

    * BSD소켓 사용
    * SSL 또는 TLS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연결 생성
    * DNS호스트 리졸브(resolve)
    * HTTP 통신,
    * FTP 통신
    * 봉쥬르 서비스 통신


Foundation 프레임워크
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는 코어 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Objective-C로 랩핑한 프레임워크이다. 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는 아래의 기능들을 지원한다.

    * 데이터 컬렉션(배열, 집합, 사전 등)
    * 번들
    * 날짜 및 시간 연산
    * 원시 데이터 블록(Raw data block) 처리
    * 환경 설정 관리
    * URL 및 스트림 처리
    * 스레드와 런루프
    * 봉쥬르
    * 통신 포트 관리
    * 국제화
    * 정규 표현식 매칭
    * 캐쉬 지원


CoreTelephony 프레임워크
코어텔레포니 프레임워크는 iOS4.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전화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를 얻거나 현재 전화망의 정보를 얻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VoIP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oreMedia 프레임워크
코어미디어 프레임워크는 iOS4.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AV Foundation이 사용하는 저 수준 미디어 타입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앱에서는 이 프레임워크가 필요하지 않지만 오디오와 비디오 컨텐츠를 세세하고 정밀하게 다뤄야 하는 개발자들에게는 필수 프레임워크이다.


CoreMotion 프레임워크
코어모션프레임워크는 앱이 장치 하드웨어로부터 움직임 데이터를 받을 수 있고  처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장치 하드웨어는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이다.


CoreLocation 프레임워크
코어로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장치의 현재 위도와 경도를 알려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CoreFoundation 프레임워크
코어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는 C언어 기반 인터페이스로 iOS앱의 기본 데이터 관리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아래의 내용을 지원한다

    * 데이터 컬렉션(배열, 집합, 사전 등)
    * 번들
    * 문자열 연산
    * 날짜 및 시간 연산
    * 원시 데이터 블록 처리
    * 환경 설정 관리
    * URL 및 스트림 처리
    * 스레드 및 런루프
    * 포트와 소켓 통신

코어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는 파운데이션 프레임워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파운데이션 객체와 코어파운데이션 데이터 타입을 혼합해서 써야 할 때 "톨프리브릿징" 기술을 사용하여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톨프리브릿징기술은 코어파운데이션과 파운데이션 데이터 타입을 메서드나 함수에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CoreData 프레임워크
코어데이터 프레임워크는 iOS3.0부터 포함된 프레임워크로 모델-뷰-컨트롤러 앱에서 데이터 모델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S개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iled to upload iPhoneAppName.app  (0) 2010.11.25
Media Layer 소개  (0) 2010.11.19
Core OS Layer 소개  (0) 2010.11.19
가장 빈번한 코어데이터 오류 해결하기.  (0) 2010.10.12
쿼츠2D 튜토리얼 - 공 애니메이션  (0) 2010.10.07